08:30 - 09:00 |
참가자 등록 / VIP 네트워킹 |
09:00 - 09:20 |
개회식 |
Keynote Session 질문하는 인간과 제시하는 AI : 더 나은 미래로 탐험
|
09:20 - 10:40 |
“착한 인공지능”의 한계: “인간중심 인공지능”을 향하여 |
제임스 랜데이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 공학과 교수, 인간중심 AI연구소 부소장 |
뇌공학, 포스트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하다 |
정재승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교수 |
사회자: 이정혜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
10:40 - 10:50 |
네트워크 및 휴식 |
Session I AI+ 의료 : 생명 연장 꿈의 시작
|
10:50 - 12:20 |
인공지능과 신약개발 혁명 |
지미 옌추 린 인실리코 메디슨 타이완(AI 신약 개발 기업) CEO |
AI를 통한 암 정복 |
유동근 루닛(AI 진단 솔루션 업체) 최고인공지능책임자 |
디지털 치료기기 기술의 현황 및 인공지능의 활용 전망 |
김재진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사회자: 예종철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
12:20 - 13:20 |
오찬 |
Session II AI+ 로봇 : 새로운 협업의 탄생
|
13:20 - 14:50 |
|
아이샤 칸나 싱가포르 Addo(AI 솔루션 기업) CEO |
AI 기술 활용 로봇 기술 발전 방향 |
심현철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인간과의 공존, AI시대의 로봇 |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원장 |
사회자: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14:50 - 15:00 |
네트워크 및 휴식 |
Seoul Insight 인간과 AI+ 마음과 실존의 경계
|
15:00 - 16:00 |
철학이 바라보는 인간 마음의 고유함 |
김재인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
AI는 인간과 같은 마음을 가질 수 있을까? |
권준수 서울대 정신과/뇌인지과학과 교수 |
16:00 - 16:10 |
네트워크 및 휴식 |
SFC TALK AI+ 창작 vs. 인간의 창의
|
16:10 - 17:30 |
‘이봄’ = 창의지능 ? |
안창욱 광주과학기술원 AI대학원 교수 |
AI, 실리를 묻고 윤리로 답하다 |
홍지영 영화감독 |
수요곡선의 수호자 |
배명훈 SF작가 |
사회자: 한혜원 이화여대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