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사 및 세션 소개

Keynote Session │ 미지의 세계, 인류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Keynote Session>에서는 인류가 겪은 팬데믹 혼돈과 인류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급격하게 맞이한 변화와 상처, 이를 통한 교훈을 되짚어 보고, 생명, 도시, 기술 그리고 지속 가능한 사회에 대해 <스케일>의 저자이자 복잡계 과학의 창시자인 제프리 웨스트(Geoffrey West) 교수와 국내 자연 과학계 연구의 대부인 최재천 교수가 담론을 제시합니다. 동서양을 대표하는 석학들의 대담을 통해 앞으로 인류의 방향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연사 │ 제프리 웨스트 산타페연구소 특훈 교수

  • 이론물리학자이자 복잡계 과학의 대가
  • 산타페연구소 특훈교수
  • 전 산타페연구소장
  • <타임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제프리 웨스트는 이론물리학자로서 복잡계 과학의 대가입니다. 그는 산타페연구소의 전 대표이자 특훈 교수입니다. 산타페연구소는 복잡계 분야 연구를 위해 설립된 연구소로 미국 뉴멕시코주 샌타페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물리학회(American Physical Society)의 회원이며, 미국생태학회의 조지 머서 상George Mercer Award(2005, 공동수상), 옥스퍼드대학의 웰던 기념상Weldon Memorial Prize(2005), 글렌재단의 글렌 상Glenn Award(2009), 미국물리학회의 레오실라르드 상Leo Szilard Award(2013)을 받았습니다. 그는 세계경제포럼(WEF)을 포함한 TED, PopTech, 구글토크(Google Talk) 등 세계 유명 회의 및 콘퍼런스의 연사로 참여하였습니다. 도시의 과학적 모델을 연구하는 선도적인 과학자로서 2006년 <타임>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선정되었습니다. 옥스퍼드, 런던 임페리얼칼리지, 싱가포르 난양공대의 방문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 <스케일: 생물, 도시, 기업의 성장과 죽음에 관한 보편 법칙>을 저술하였습니다.

연사 │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 생명다양성재단 대표
  • 초대 국립생태원 원장
  • 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명예대사

최재천 교수는 하버드대에서 에드워드 윌슨 교수의 지도로 진화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대 전임강사와 미시건대 조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섯 국제 학술지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2019년 출간된 동물행동학 백과사전(Encyclopedia of Animal Behavior)의 총괄 편집장을 역임했습니다. 140여편의 논문과 6권의 영문 저서를 출간한 것 외에도 70권 이상의 책을 집필 또는 번역하였습니다. 한국생태학회 회장, 초대 국립생태원 원장, 국제생물다양성협약(CBD) 의장,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명예대사를 역임했고, 현재 생명다양성재단과 국회기후변화포럼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사회자 │ 김지연 아리랑TV 앵커

  • 아리랑국제방송 앵커
  • 아리랑국제방송 시니어 에디터
  • 전 국방부 출입기자

김지연은 아리랑국제방송 The Point 시사대담 프로그램 진행자 및 시니어 에디터입니다. 지난 10년간 다양한 출입처에서 보도 기자로 일했습니다. 2019년에서 2021년까지 약 2년 반 동안 국방부 출입기자로 취재활동을 펼쳤으며, 또한 다양한 MC 활동을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2021년 P4G 서울 정상회담 등이 있습니다.

Seoul Insight │ 인간보다 더 인간답게 - 디지털 신세계

디지털이 일상이 될 메타버스 시대에서 버추얼 휴먼(Virtual Human)은 또 다른 나의 부캐(부 캐릭터, Digital Me)가 되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 물리적인 인구는 70억 명일지라도,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인구는 그 이상이 될 것입니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 우리 세계의 확장은 어디까지 일까요? 버추얼 휴먼 루이(Rui)와 그의 창시자 오제욱 디오비 스튜디오 대표의 대화를 통해 버추얼 휴먼의 발전 전망과 활용 범위, 윤리적 이슈 등에 대해 알아봅니다.

연사 │ 오제욱 디오비스튜디오 대표

  • ㈜디오비스튜디오 대표이사
  • 글로벌 사업 개발 전문가
  • SBA 1인미디어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크리에이티브포스” 1기

오제욱 대표는 LX상사 신사업 추진 TF에서 디오비스튜디오까지 아홉 번의 이직과 세 번의 창업이라는 독특한 이력을 보유한 인물입니다. 골프존의 중화권 사업 개발과 SBS의 인기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 <웃찾사>, <짝>의 중국판 공동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NIPA, KISED 등 다수의 기관에서 ICT 분야 심사평가 위원이자 스타트업 멘토, 강연자로 활동해왔습니다. 큰 틀에서 “글로벌 사업 개발 전문가”의 커리어를 쌓아왔으며 2014년 SBS Content Hub 근무를 기점으로 “한류”에 초점을 맞춰 콘텐츠 중심 사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SBA의 1인미디어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크리에이티브포스” 1기이자 비즈니스 멘토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류경영 석사 학위 논문 또한 유튜브 음악 크리에이터의 수익 모델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 내용을 담고 있어 학계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습니다. (예술 창작자의 유튜브 수익 모델에 관한 연구, 2020.8, 오제욱) 딥러닝 기술로 가상얼굴을 생성하고 실존 인물의 얼굴에 스와프하는 방식으로 버추얼 휴먼을 만들어 상용화시킨 세계 최초의 사례 “루이”를 개발한 디오비스튜디오를 창업하고 TVING의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 <얼라이브(ALIVE)>에서 울랄라세션의 고 임윤택 단장을 가상얼굴로 완벽하게 복원하면서 메타버스 실감 미디어 콘텐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Session I │ 탐험, 바이오 - 생물학적 한계에 맞서다

생물 진화가 수백만 세기에 걸쳐 자연스럽게 일어났다면, 이 시대의 인류는 자신의 유전자를 직접 설계하는 것을 꿈꾸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신체적 결함과 불치병을 치료하고 식량 안보를 지키는 단계에 이르고자 합니다.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유전자 산업에 대해 유전자 가위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인 새뮤얼 스턴버그 (Samuel Stenberg) 교수와 텔로미어(장수 세포) 유전 공학 연구 전문가인 이현숙 교수,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생물공학 연구 성과로 세계의 인정을 받은 차세대 과학자, 백민경 교수와 함께 이야기를 나눌 것입니다.

연사 │ 새뮤얼 스턴버그컬럼비아대학교 생물화학 및 분자생물물리학과 조교수

  • 컬럼비아대학교, 생물화학 및 분자생물물리학과 조교수
  • <크리스퍼가 온다> 공동저자

새뮤얼 스턴버그는 컬럼비아대학교 생물화학 및 분자생물물리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에서 202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다우드나와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캐스9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21세기 생명공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기여했습니다. 유전자가위는 타깃 유전자만을 정밀하게 조준해서 편집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로서, 인류가 직면한 거대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새뮤얼 스턴버그는 제니퍼 다우드나와 함께 유전자가위의 연구 개발 과정과 그 원리를 상세하게 밝힌 <크리스퍼가 온다>를 공동 저술했으며, 미국을 비롯해 중국, 이스라엘, 독일, 벨기에, 영국 등에서 크리스퍼 혁명에 관한 강연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2014년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연사 │ 이현숙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건명원 과학분야 운영위원
  • 신세계이앤씨-KAIST AI연구센터장
  • Post-AI 연구소장
  • Max-Planck-Institute for Brain Research Brain Systems Research 박사

이현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석사를 졸업하고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박사 이후 하버드 대학과 워싱턴 주립대학에서 연구원으로 학문에 매진하였습니다. 2004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생명과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 2010년 정년보장을 받았습니다.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부원장, 자연과학대학 기획부 학장, 서울대학교 평의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연구처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이현숙 교수는 텔로미어 DNA 복제와 손상 복구 기전, 세포 주기 조절을 연구하는 분자생물학자로 유방암의 암억제인자 BRCA2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입니다. 암세포의 염색체 불안정성이 발병하는 원인을 규명한 공로로 2012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상과 2014년에 제10회 마크로젠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연사 │ 백민경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조교수

백민경 교수는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부에서 학사와 박사를 각각 2013년, 2018년에 취득하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의 데이비드 베이커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거쳤습니다. 박사 후 연구원 기간 동안 인공지능 기반의 단백질 구조 예측 방법인 로제타폴드 방법을 개발하였고 관련 논문을 2021년 세계적인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발표하였습니다. 이 로제타폴드 방법과 이를 활용한 단백질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사이언스 저널에 의해 2021년 올해의 최고의 역신 연구 (2021 Breakthrough of the Year)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2022년 9월부터는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어 단백질을 비롯한 다양한 생체분자의 구조와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방법 개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모더레이터 │ 이선호 과학 커뮤니케이터

  • 서울의대 의학박사수료
  • 과기부 장관 위촉 과학 커뮤니케이터 (2017~)
  • 친환경 기업 ‘공공’ CCO
  • 교육소외지역 전문 멘토링자격(2020-)
  • EBS 오디오 지식e “엑소의 이건무슨사이언스” 진행
  • KBS FM대행진(청취율1위) “엑소의 오마이과학”진행 (2020~)
  • 알제리 우주청 우주발사체 강사(2021)
  • 넷플릭스 [유재석의 범인은 바로 너] 자문
  • 1등 팟캐스트&유튜브 "매불쇼" 과학코너 진행 (2019~)
  • 1등 과학 팟캐스트 "과장창" 진행 (2017-2020)

현 친환경 주식회사 공공 CCO 이자, 과학커뮤니케이터입니다. 서울의대 의학 석사 졸업 및 박사 수료 후 대중과 과학기술 간의 간극을 좁히고자 과학을 쉽고 재밌게 대중들에게 알리는 과학커뮤니케이터로 활동 중입니다. 가톨릭대학교 생명공학과를 1년 조기로 수석 졸업하였으며, 서울의대 진학 후 이종 간의 장기이식 및 줄기세포 간의 소통물질 엑소좀을 연구하였습니다. 서울의대 최초 최우수로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 수료 및 졸업 후, 현재 KBS FM라디오 및 EBS, 넷플릭스, 유튜브 플랫폼 등을 통해 과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초등학생 대상 실시간 교육 플랫폼 꾸그에서 수강률 평점전체 1위 강사로도 활동 중이며, 전국 교육소외 지역 및 보육원에서 정기적인 무료 재능 기부 강연 등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Session II │ 확장, 우주 - 인류의 담대한 도전

<Session Ⅱ>스페이스 2.0 시대, 인류는 미지의 공간 우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더 넓은 공간, 더 많은 가능성을 향한 인류의 담대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우주산업의 전망과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왜 우리 인류가 우주로 향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폴 윤(Paul Yun) NASA 홍보대사가 국내 우주 항공 연구원 및 기업인들과 무대에 올라 우주로의 확장, 탐사로봇, 위성 솔루션 등에 논의할 것입니다.

연사 │ 폴 윤 미국 엘카미노대학교 수학과 교수, NASA 태양계 홍보대사

  • 미국 항공 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NASA JPL), 태양계 앰배서더
  • 미국 엘카미노 대학 수학과 교수
  • 하버드대학교 입시사정관

폴 윤 박사는 미국 항공 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NASA JPL)의 태양계 앰배서더를 역임하며 미국과 한국 간의 교류를 통해 연구자, 공무원, 학자, 학생들에게 NASA의 우주개발 현황과 동향을 알리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연구자와 NASA 한인 연구자들을 연결하고, 한국 과학관이 NASA 박물관 연합체 참여하는 활동을 지원하여 국제 교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엘카미노 대학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미국 SAT 수학 문제 출제자이자 하버드대학교 입시사정관을 역임한 경력이 있으며, tvN <뇌섹시대-문제적 남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발한 방송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연사 │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

  •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대표교수
  •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겸직교수
  • 전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황정아 책임연구원은 우주를 사랑하는 물리학자로서 우주환경을 연구하고, 우주로 보낼 인공위성을 만듭니다.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플라스마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학위과정 동안 과학기술위성 1호의 우주물리 탑재체 개발에 참여하면서 인공위성과의 인연이 시작되었고 현재까지 24년째 우주 미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 최초 4기의 큐브샛 편대비행 미션인 도요샛(SNIPE) 프로젝트의 시스템 총괄을 맡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우리나라도 태양계 탐사뿐 아니라 태양권 계면을 벗어나 새로운 지평선을 여는 인공위성을 개발할 것이고, 이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습니다. 국가우주위원으로 활동했고,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사업 추진위원, 425 정찰위성사업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푸른빛의 위대한 도약, 우주》,《우주날씨 이야기》,《우주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와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공저), 《첨단기술의 과학》(공저) 등이 있습니다.

연사 │ 이성희 컨텍 대표 (前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주식회사 컨텍 대표이사
  •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 전 캐나다 칼턴 대학교 방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연구원 출신 이성희 대표는 8년째 컨텍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컨텍은 항우연의 스핀오프 기업으로 글로벌 규모의 우주지상국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우주지상국 데이터 수신 서비스 및 위성 영상 전처리·활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성희 대표는 2002년 나로우주센터에서 근무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6년간 우주산업에 종사했습니다. 이성희 대표는 나로호 임무를 11년간 수행했으며, 캐나다 칼턴 대학교에서 1년간 방문연구원으로 큐브샛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귀국 후 2015년 1월 컨텍을 설립하였으며, 국내 유일한 우주지상국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모더레이터 │ 김상돈 스타버스트 한국 대표

  • 스타버스트 한국 지사 대표
  • 전 한국항공(전 삼성항공) 비행역학 엔지니어
  • 전 롤스-로이스 가스 터빈 한국 지사의 사업 개발 담당

김상돈 대표는 서울대학교에서 항공우주공학 학사와 석사를 수료하였습니다. 한국항공(전 삼성항공)에서 초등훈련기, 중형항공기, 고등훈련기 과제의 비행역학 엔지니어로 일했으며, 이후 고등훈련기 국제 마케팅 업무를 하였습니다. 이후 한국 자본으로 프랑스에 설립된 IT 벤처 대표를 거쳐, 롤스-로이스 가스 터빈 한국 지사의 사업 개발 담당으로 일했으며 2020년 12월부터 글로벌 항공우주 엑셀러레이터인 스타버스트 한국 지사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SFC Talk │ 메타버스 세상에서 살아가기

2022년을 강타한 키워드 ‘메타버스‘, 하지만 ‘메타버스로 디지털 세계가 어떻게 재편될지’, ‘실제 인간관계가 메타버스로 어떻게 이어질지’, 그리고 ‘메타버스가 비즈니스 환경에는 어떻게 적용될지’, 이러한 메타버스와 관련된 심층적인 질문에 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디지털 세상의 주인공인 MZ 세대와 메타버스 전문가들의 대담을 통해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연사 │ 유응준 엔비디아코리아 대표

  •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

유응준 대표는 연세대학교에서 Unix 운영체제의 최적화에 관련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숭실대학교에서 big data 관련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신 IT & AI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외국회사(HP, Sun, Oracle, Nvidia)에서 30년 이상 근무하고 있으며, 컴퓨터의 운영 체계, IT 인프라 운영관리, ITSM 컨설팅,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IT분야에 전문가입니다. 한국 엔비디아 코리아의 대표로 있으면서 지난 6년동안 매출 200만 달러 정도의 조직을 2022년 현재 25,000만 달러이상의 매출로 증가시키고 다양한 산업에 AI를 적용하는 한국의 AI 신화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현재는 한국의 AI 개발자 양성을 위하여 다양한 대학, 정부기관 및 기업고객들과 DLI(Deep Learning Institute), 해커톤, 부트 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협력하고 있습니다.

연사 │ 모다 렌지드 크리에이터 매니저

  • 렌지드 크리에이터 매니저

김소정은 3억 명이 넘는 유저를 확보한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모다"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이자 메타버스 기업 "렌지드"의 크리에이터 매니저입니다. 모다는 2021년 1월부터 제페토에서 활동하며 약 1년 8개월 만에 20만 9천여 명의 팔로워(부계정 포함)를 달성했으며, 아이템 판매 개수는 약 100만 개입니다. LG경영연구원 밀레니얼 자문단과 독일계 글로벌 잡지사 Spiegel의 인터뷰 등에 참여하며 메타버스 크리에이터의 생태계를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사 │ 전우열 벤타브이알 대표이사

  • 대표이사

VR/AR 2,000편 상용화로 글로벌 제작편수 1위 기업이자, 국내 S3DVR 콘텐츠 분야에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벤타브이알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이며, S3D, MAXON 국제 인증 인스트럭터다. 벤타브이알은 S3D 입체영상에 최적화된 VR RIG를 자체 개발하였고, 독자적인 근접 촬영 기술을 통해 시야 피로나 멀미감 없는 고화질 3DVR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2015년 설립 초기에는 아이돌 언테테인먼트 콘텐츠를 주로 제작하였으나 현재는 3DVR 뿐만 아니라 볼륨메트릭, 실감형 메타버스까지 기술 분야를 확대 하며 3DVR 공연 라이브, 산업안전, 스포츠, 영화, 의료, 관광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벤타브이알의 노력과 기술력은 글로벌에서도 인정받아 74회, 78회 베니스국제영화제 2회 수상, 2021 SXSW VR필름부문 공식초청, 2021 레드닷 어워드에서는 국내최초 메타버스 전시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모더레이터 │ 이승윤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디지털 문화심리학자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마케팅 분과 교수
  • 전 닐슨(Nielsen) 선임 연구원

이승윤 교수는 디지털 문화심리학자로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마케팅 분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영국 웨일스 대학교에서 소비자 심리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캐나다 몬트리올에 있는 맥길 대학교에서 경영학 마케팅 분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글로벌 마케팅 조사 회사인 닐슨(Nielsen)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습니다.

현재 비영리 연구·학술 단체인 디지털마케팅연구소(www.digitalmarketinglab.co.kr)의 디렉터로 있으면서 디지털·빅데이터 분야의 전문가들과 주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기업과 기관에서 자문 컨설팅과 강연 의뢰를 받아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DBR 및 매일경제신문에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관련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SK의 전국 T-Store 고객 경험 전략 자문 등 다채로운 공간 관련 컨설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공간은 경험이다》,《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영향력》,《입소문을 만드는 SNS 콘텐츠의 법칙, 바이럴》,《구글처럼 생각하라-디지털 시대 소비자 코드를 읽는 기술》,《디지털 소셜 미디어 마케팅》이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