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기조 │ 디라지 무케르지 Shazam 공동창업자, 기술투자자
디라지는 Shazam을 원래 아이디어에서 세계적인 아이콘 브랜드로 성장시킨 인물로, 20억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한 Shazam의 성공적인 론칭을 이끌었으며, 두 차례의 금융 위기를 헤쳐 나가며 수백만 달러의 자금을 유치하고, 급성장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었다. Apple에 Shazam을 4억 달러에 매각한 후에는 수많은 고성장 스타트업과 스케일업에 투자해왔다.
현재는 AI, 적응적 리더십, 기후 행동 및 미래 노동력에 관한 국제적인 기조연설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Tech for Good 투자자로서 250개 이상의 선진 기술 기업에 투자한 바 있다. 또한, PWC, BCG, Google, Unilever 등 여러 블루칩 기업들의 자문을 맡아왔고,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MBA와 다트머스대학 학사 과정을 마쳤다.
디라지는 비즈니스 최전선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통해 영감과 실용적인 조언을 전한다.
국내기조 │ 최양희 한림대학교 총장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랑스 국립정보통신대학(ENST)에서 전산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30여 년간 재직했으며, 미국 IBM Watson연구소 방문과학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데이터통신연구실 실장과 정보통신표준연구센터장을 맡아 활동했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초대 대학원장, 차세대융합기술원장, AI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국가 과학기술과 ICT 정책을 총괄했고,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정보과학회 회장, 미래인터넷포럼 초대 의장으로 일했다. 제11대 한림대학교 총장 취임 후 2025년 제12대 총장으로 연임되었으며, Test-of-time Award,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인터넷기술상, 백남공학상 등 국내외 다수의 상훈을 수상하였다.
모더레이터 │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 분야 중 지식 표현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전략기획실과 미디어 서비스 사업팀에서 인터넷사업을 담당한 후, 2003년 다음커뮤니케이션 전략대표와 일본 법인장을 역임했다. 두 번의 창업을 했으며, 카이스트와 세종대학교 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테크프론티어 대표를 맡고 있다.
현재 기업을 위한 기술 전략컨설팅, 정부 정책 자문과 연구 수행 그리고 기술과 사회에 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 윤리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 신뢰가능한 인공지능 등에 대한 연구 과제를 수행했으며 슬로우뉴스 등 여러 매체에 기술 관련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공공 영역에서는 인공지능 데이터셋 구축을 위한 AI 데이터 로드맵 총괄기획위원,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기획위원 등의 활동을 했다. 저서로는 ‘AI 전쟁 2.0’, ‘AGI의 시대’ ‘AI 전쟁’,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공저)’,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등이 있다.
해외연사 │ 오가타 데쓰야 AI로봇협회(AIRoA) 회장, 일본 와세다대학교 교수
오가타 데쓰야 교수는 30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온 로봇 및 인공지능 분야의 선구자로, 로봇 감정 모델링, 인지 발달 로보틱스, 심층 예측 학습에서 혁신적인 기여를 해왔다.
와세다대학교에서 박사 후,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와 RIKEN 등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로봇의 감정 표현을 하드웨어 상태와 연결한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또한, 심층 학습을 활용한 예측 학습을 통해 로봇이 유연한 물질과 상호작용하며 환경에 적응하는 기술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킨 바 있다.
오가타 교수의 연구는 로봇의 인간 감정 인식과 상호작용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
국내연사 │ 이상호 만드로주식회사 대표이사
만드로의 이상호 대표는 2015년 1월, 동갑내기 양손 절단 장애인의 사연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보고는, 전자의수라는 것을 재능기부 차원에서 만들기 시작했다.
의수라는 것을 잘 알지 못했기에 첫 번째 제작 과정에서 많은 것들을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당시의 가장 큰 문제는 너무나 비싼 가격의 전자의수, 그리고 그로 인해 99.9%의 상지 절단장애인 분들이 사용 조차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기존의 자동차 가격대 전자의수를 가전제품이나 스마트폰 가격대에 판매하기 위하여 지난 10년 동안 개발했던 다양한 전자의수들의 제작 경험을 공유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현재는 휴머노이드 로봇과 로봇용 손을 개발하고 있는지에 대한 스토리를 소개하면서, 향후 로봇 손 분야에서는 어떤 기술들을 추가로 개발해 나가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 경험자의 이야기로 소개할 계획이다.
국내연사 │ 박종건 주식회사 서큘러스 대표이사
박종건 대표이사는 AI 로봇 기업 서큘러스의 창업자이자 CEO이다. 그는 ‘Physical AI’ 시대를 여는 온디바이스 지능 플랫폼을 선도하고 있다.
서큘러스는 NVIDIA Inception과 Intel Ingenious 프로그램에 선정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삼성전자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팅과 현대자동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산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현재 서큘러스는 언어·시각·음성 지능을 통합하여 로봇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두뇌를 개발하고 있다. 인간과 로봇이 함께 살아가는 미래를 앞당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해외연사 │ 린이빙 대만 국립양밍교통대학교 종신 석좌교수, 대만 중국의과대학교 석좌교수
린이빙 교수는 대만 국립양명교통대학교 종신 석좌교수로, 모바일 통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Bell Labs 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대만으로 돌아와 학계와 정부, 산업계를 넘나들며 ICT 발전을 선도해왔다. 약 500편의 저널 논문과 200편의 학술회의 논문, 60여 건의 국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전 세계 60여 개 대학에서 교재로 채택되었다.
IEEE, ACM, AAAS, IET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TWAS 공학상, K. T. Li 명예학자상, IoT 리더십 파라곤 어워드 등 다수의 국제적 상을 수상하며 ICT 분야에서 학문과 정책, 산업을 아우르는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연사 │ 전기정 LG AI연구원 서비스개발부문장
전기정 서비스개발부문장은 LG AI연구원의 AI Product 부문을 리딩하며, AI 기술이 실제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서비스화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LG그룹 계열사의 AI Transformation 컨설팅을 리드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LG AI연구원에서 최신의 AI 기술이 실제 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기존 NAVER, IBM 등의 기업에서 정보시스템, 데이터사이언스, 프로세스 혁신 등의 업무를 담당했으며, LG에서는 데이터 전략, AI Transformation 부문을 담당했다.
모더레이터 │ 임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전공 교수
임혜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6년에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전기·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약 3년 반 동안 미국 루슨트 테크놀로지스 벨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시스코 시스템즈에서 2년간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근무하였다.
2002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과대학 학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 여성 최초로 국내 최대 규모 학회인 대한전자공학회 회장으로 일했다. 또한 2021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을 지냈으며, 2021년 5월 14일부터 1년간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재임하였다.
현재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며, 국제전기전자학회 석학 회원(IEEE Fellow)이다. 연구 분야는 확률적 자료구조를 활용한 다양한 네트워크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조 설계이며, 이를 실제 디지털 칩으로 구현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국내연사
모더레이터 │ 최윤식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 전문미래학자
미국의 권위 있는 미래학 정규과정인 휴스턴대학교 University of Houston 미래학부에서 학위를 받았다. Peter C. Bishop(세계미래학회 및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 창립이사)과 Christopher Burr Jones(세계미래학회 사무총장 역임), Wendy Schultz(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 회장 역임) 등 미래학의 세계적 거장들에게 사사 받았다. 미래학, 경영학, 철학, 윤리학, 신학을 공부한 그는 전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전문 미래학자들의 모임인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APF)이사회 임원으로 활동했고,아시아와 한국을 대표하는 전문 미래학자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목적으로 한스타트 업 AIintelligence Inc.를 설립했다. 현재 아시아미래인재연구소 소장으로 활동 중이며, 전) 세계전문미래학자협회(APF) 이사회 임원, 전) 삼성전자 DMC 연구소 자문교수, 전) SUNY Korea(한국뉴욕주립대) 미래연구원 원장, 전)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70여권이 넘을 정도로 왕성한 연구 및 저술 활동을 하고 있으며, 누적 판매량 100만권을 넘을 정도로 대중의 사랑을 받는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국내연사 │ 이성효 천주교 마산교구 교구장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사를 마친 후 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했다. 독일 트리어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석사를 취득한 뒤 천주교 수원교구 가톨릭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이후 프랑스 파리가톨릭대학에서 역사신학 박사를 취득하고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2011년 주교 서품을 받았다. 천주교 수원교구 보좌주교로 재직 중이던 2013년 교황청 문화평의회 위원으로 선발되었다. 2023년 교황청 조직 개편에 따라 교황청 문화교육부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4년 천주교 마산교구장에 임명되어 2025년 2월 착좌하였다.
2024년 9월 도쿄에서 개최된 아시아시그니스 대회에서 “인공지능과 마음의 지혜” 제하의 프란치스코 교황의 홍보주일 담화 해설을 발표했고, 2025년 1월 교황청 문화교육부 산하 디지털연구소에서 발간한 “Encoun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를 번역 소개하였다. 현재 주교회의 사회홍보위원회 위원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연사 │ 김재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철학자이며, 현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소사이어티 문화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로 기술철학과 예술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 및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철학박사), 고등과학원 초학제프로그램 연구원과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공동 뇌 프로젝트>(2025),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2024),
국내연사 │ 천선란 SF 작가
천선란은 SF를 사랑하며 환경 파괴와 종의 멸종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작가다. 그녀의 작품 속 인물들은 극한 상황에서도 슬픔과 상실을 안고 나아가며, 이는 독자에게 용기의 근원을 묻는다. 『천 개의 파랑』, 『나인』, 『노랜드』, 『밤에 찾아오는 구원자』, 『이끼숲』, 『모우어』 등에서 절망 속에서도 사랑을 잃지 않는 힘을 보여준다. 소설뿐 아니라 드라마 각본과 SF 다큐멘터리 <지구 위 블랙박스>에도 참여했으며, 『천 개의 파랑』은 5만 부 이상 판매, 연극·뮤지컬로 확장되었고 워너브라더스와 영상화 계약이 진행 중이다.
펭귄 랜덤하우스와 억대 선인세 계약을 체결하며 해외 독자에게도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대한민국 SF작가연합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모더레이터 │ 곽재식 숭실사이버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조교수
소설가, 환경안전공학과 교수.2006년 단편소설 〈토끼의 아리아〉가 MBC에서 영상화된 이후 《지상 최대의 내기》, 《신라 공주 해적전》 등 다양한 단편 소설집과 장편 소설들을 펴내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과학 교양서로 《곽재식의 세균 박람회》,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 《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등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편 KBS <주말 생방송 정보쇼> SBS 〈김영철의 파워FM〉 CBS <이강민의 잡지사> 등 대중매체에서 과학 지식을 소개하고 경제와 산업의 다양한 현상을 과학으로 풀이하는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현재는 숭실사이버대에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