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사 및 세션 소개

국내연사 │ 한병화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이사

  • 뉴욕대학교 석사
  • KB증권 애널리스트(유틸리티/재생에너지 담당)
  •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K-뉴딜 위원회 자문위원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자문위원
  • 에너지전환포럼 이사

재생에너지, 전기차 등 그린산업 분석을 담당하는 애널리스트이다. 또한 에너지전환포럼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전문가·학계·기업 간 정보 공유와 정책 방향 자문에 참여하고 있다. 국내 그린산업은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대부분의 영역에서 여전히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RE100과 탄소국경조정제 등 글로벌 탄소장벽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현재와 같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대한민국은 경쟁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 다행히 국내에는 풍력, 태양광, 전기차, 배터리, 수소 등 주요 그린산업 전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들이 다수 존재한다. 중국을 제외하고 이러한 산업 전 영역에서 원스톱 공급이 가능한 유일한 국가라는 점은 큰 강점이다. 올바른 정책 방향과 산업 전략이 뒷받침된다면 대한민국은 글로벌 그린산업 헤게모니 경쟁에서 승자가 될 수 있다.

국내연사 │ 강금석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 Program Director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재생에너지연구실장 (수석연구원)
  • (現)풍력에너지학회 부회장
  • (現)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PD (연구위원)

「서남해 2.5GW 해상풍력 로드맵」, 「주민과 함께하고, 수산업과 상생하는 해상풍력 발전방안」 등 국내 해상풍력 산업활성화 및 보급확대를 위한 연구개발 및 정책, 제도 수립 참여
에너지R&D사업에 대한 기획, 평가, 성과확산 등 주요 과정 참여
국내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실증프로젝트 및 연구 선도
해상풍력단지 설계/시공/운영, 친환경/수용성, 정책개발 등 연구
* 주요연구성과
. 국내 최초 해상기상탑 설치 운영
. 국내 최초 해상풍력단지 Design Basis 수립
․ 해상풍력단지 수산업 공존 설계 기술 개발 및 실증
․ 공공주도 계획입지 및 주민상생 해상풍력 발전 방안 수립

국내연사 │ 옌스 오르펠트RWE 해상풍력 亞太 대표

  • RWE 해상풍력 亞太 대표

덴마크 출신인 옌스 오르펠트는 2021년부터 RWE 해상풍력 아시아·태평양 대표를 맡고 있는 해상풍력 분야 전문가이다. 그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반에서 대규모 재생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며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오르펠트 대표는 2018년부터 3년간 글로벌 녹색에너지 개발 및 투자 전문 기업인 Green Investment Group에서 커머셜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그에 앞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Ørsted에서 변호사로 근무했다. 그는 해상풍력 업계에서 18년 이상 종사하며 사업 기회 발굴, 운영, 최종 투자 결정에 이르기까지 사업 개발 전반에 걸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후 덴마크 법무부에서 검사로 경력을 시작한 법조인 출신이다.

모더레이터 │ 이상일군산대학교 풍력에너지학과 부교수

  • 한국풍력에너지학회 회장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혁신 평가단 위원 (풍력분야)
  • 전북특별자치도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운영위원회 위원
  • 군산시 정책자문단 새만금에너지분과위원회 위원

현재 국립군산대학교 풍력에너지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풍력에너지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혁신 평가단 위원(풍력분야), 전북특별자치도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운영위원회 위원, 군산시 정책자문단 새만금에너지분과위원회 위원, 군산시 해상풍력민관협의회 공익위원으로 정책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미국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Post-doctor로 재직하면서 나노/스마트복합재료 연구 및 스마트 계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두산에너빌리티(구 두산중공업)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2팀장으로 재직하면서 해상풍력터빈 하중해석·인증 및 풍력블레이드 기술개발을 총괄하였으며,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 지원 업무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초대형 해상풍력발전시스템 연구, 해상풍력단지 타당성 연구, 초대형 풍력 블레이드 소재 시스템 연구, 탄소복합재료의 계면적·전기적 특성 연구 및 비파괴 평가(NDE) 등이 있다.

패널 │ 정종영주식회사 삼해E&C 대표

  • 명운산업개발 사장 겸 삼해E&C 대표이사
  • 한국공학대학교 석좌교수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국장 역임
  • 미국 변호사(G.A. Bar)
  • 제39회 행정고시 합격
  •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졸업

명운산업개발 사장 겸 삼해E&C 대표이사로서,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공사가 진행중이면서 현재까지 운영·시공중인 사업중 최대 규모(364.8MW)인 낙월해상풍력사업의 개발 및 해상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남 영광 앞바다에 위치한 낙월해상풍력사업은 현재 공정률이 65%에 이르고 있으면, 내년 6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명운산업개발로 이직하기 전에, 산업통상자원부에서 27년간 에너지 및 산업분야에 근무하면서 에너지혁신정책과장, 원전산업정책과장, 전기위원회 총괄서기관 등 국가 에너지 중장기 목표 및 안정적 수급, 재생에너지확대, 친환경·무탄소 에너지로의 전환, 지역에너지 정책 등을 수행하였다. 에너지 및 산업부문 외국인투자 유치를 촉진하는 투자정책국장을 끝으로, 2023년 해상풍력 산업계로로 이직하였다.

정부에서 오랫동안 다양한 에너지정책을 추진했던 지식과 경험, 통찰력을 바탕으로, 민간기업 대표로서 직접 해상풍력 개발 및 시공을 추진하면서 초기단계인 국내 해상풍력의 확대 및 생태계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패널 │ 장다울오션에너지패스웨이 한국 대표

  • 그린피스 동아시아 서울사무소 전문위원
  • 20대 국회 산업위 의원실 정책 선임비서관
  • 국제개발협력 싱크탱크 환경·에너지 분야 선임연구원
  • 유엔지역개발센터(UNCRD) 환경 연구원
  •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시장위원회 위원

오션에너지패스웨이(OEP)는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고, 해양 생태계 보전을 촉진하며,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해상풍력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글로벌 비영리단체이다.

OEP는 한국, 일본, 브라질, 인도, 필리핀, 호주, 베트남, 멕시코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장다울 한국 대표는 한국 내 OEP의 전략 수립을 주도하고,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구축하며, 국내 프로젝트를 총괄한다. 그는 지난 15년간 지방정부, UN기구, 싱크탱크, 글로벌 NGO, 국회에서 기후에너지 정책의 연구, 캠페인, 애드보커시 등을 담당했다. 또한, 그는 코리아타임스에 정기적으로 기후에너지를 주제로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그는 경제학 학사, 국제정치학 석사, 환경과학·정책·경영 석사 학위를 보유했다.

패널 │ 장연재숭실대학교 경제통상대학 경제학과 조교수

  • Washington State University 경제학 박사
  • 숭실대학교 경제학 석사 및 학사
  •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Ph.D. in Economic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 M.A. & B.A. in Economics, Soongsil University
  • Research Fellow,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장연재 교수는 숭실대학교 경제학과에 재직 중이며, 산업조직론과 에너지·환경경제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근무하며 재생에너지 정책, 전력시장 제도, 에너지 전환의 경제적 효과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등에 발표된 연구가 있으며, 태양광 입지규제, RPS 제도 개선, 재생에너지 보급비용 효율화 등 실증정책 연구를 주도해왔다. 현재 한국산업조직학회와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Top